해당 포스트는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를 공부하기 위해 정리해놓은 글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책을 참조해주세요.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88998139766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교보문고
역할, 책임, 협력 관점에서 본 객체지향 | 현재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패러다임이 객체지향이라는 사실에 대부분 이견이 없을 것이다. 절차형 패러다임을 접목한 C++나 함수형
www.kyobobook.co.kr
협력하는 객체들의 공동체
- 객체지향의 목표는 실 세계를 모방하는 것이 아니다. →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것.
- 객체를 현실 세계의 생명체에 비교해 설명하는 것은 상태와 행위를 ‘캡슐화(encapsulation)’ 하는 소프트웨어 객체의 ‘자율성(autonomous)’을 설명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 현실 세계의 사람들이 암묵적인 약속과 명시적인 계약을 기반으로 협력하며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 과정은 객체가 ‘메시지(message)’를 주고 받으며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collaboration)’하는 객체들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적합하다.
- 실세계 사물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객체를 식별, 구현까지 이어간다는 개념은 객체지향 설계의 핵심 사상인 ‘연결 완전성(seamlessness)’을 설명하는 데 적합하다.
캡슐화(encapsulation) : 객체의 자율성을 보존하기 위해 구현을 외부로부터 감추는 것
자율성(autonomous) : 자기 스스로 원칙에 따라 어떤 일을 하거나 자신을 통제해서 절제하는 성질이나 특성
메시지(message) : 객체가 다른 객체에게 주어진 책임을 수행하도록 요청을 보내는 것
협력(collaboration) : 공통의 목표를 이루어내기 위해 객체들은 메시지를 통해 협력한다.
협력하는 사람들
커피 공화국의 아침
객체지향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역할, 책임, 협력
- 역할 - 손님, 캐시어, 바리스타
- 책임
- 손님 : 커피를 주문할 책임
- 캐시어 : 주문을 받는 책임
- 바리스타 : 주문된 커피를 제조하는 책임
- 협력 - 커피가 주문되고 주문된 커피가 전달될 수 있도록 맡은 바 역할과 책임을 다하고 있는 것
요청과 응답으로 구성된 협력
요청(request) - 문제 해결에 필요한 지식을 알고 있거나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는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
응답(response) - 요청을 받은 사람은 주어진 책임을 다하면서 필요한 지식이나 서비스를 요청에 응답
요청
- 손님이 캐시어에게 원하는 커피를 주문(커피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
- 주문을 받은 캐시어는 바리스타에게 주문된 커피를 제조해 줄 것을 요청
응답
- 바리스타는 커피를 제조한 후 캐시어에게 알려 주는 것으로 캐시어 요청에 응답
- 캐시어는 커피가 준비됐음을 알림으로 손님의 주문에 응답
역할과 책임
역할(role) - 어떤 협력에 참여하는 특정한 사람이 협력 안에서 차지하는 책임이나 임무를 의미
책임(responsibility) - 역할이라는 단어는 책임이라는 개념을 내포
특정한 역할은 특정한 책임을 암시
선생님은 학생을 가르칠 책임
범죄자를 검거할 책임을 거부하는 사람에게 경찰관이라는 역할을 부여하지 않는다.
- 여러 사람이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역할은 대체 가능성을 의미한다
- 책임을 수행하는 방법은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 동일한 요청에 대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응답할 수 있는 능력을 다형성(polymorphism)이라고 한다.
- 한 사람이 동시에 여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역할, 책임, 협력
역할과 책임을 수행하며 협력하는 객체들
객체의 세계는 인간의 세계와 유사하다.
책임은 객체지향 설계의 품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 책임이 불분명한 객체는 애플리케이션의 미래 역시 불분명하게 만든다.
객체의 역할은 사람의 역할과 유사하다.
- 여러 객체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역할은 대체 가능성을 의미한다.
- 각 객체는 책임을 수행하는 방법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 하나의 객체가 동시에 여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협력 속에 사는 객체
- 객체는 충분히 ‘협력적’이어야 한다.
- 모든 것을 스스로 처리하려고 전지전능한 객체는 내부적인 복잡도에 의해 자멸하고 만다.
- 객체는 충분히 ‘자율적’이어야 한다.
- 자율적 → 자기 스스로의 원칙에 따라 어떤 일을 하거나 자기 스스로를 통제하여 절제하는 것
- 캐시어는 손님이 주문하면 행동을 시작하지만 손님에게 음료를 주문하는 절차나 바리스타에게 접수 내역을 전달하는 방법은 스스로 결정
상태와 행동을 함께 지닌 자율적인 객체
상태(state)와 행동(behavior)
객체가 협력에 참여하기 위해 어떤 행동을 해야 한다면 그 행동을 하는데 필요한 상태도 함께 지니고 있어야 한다.
객체의 자율성 → 객체의 내부와 외부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
자율성 → 자신의 상태를 직접 관리하고 상태를 기반으로 스스로 판단, 행동할 수 있음을 의미
객체의 사적인 부분은 객체 스스로 관리 → 외부의 간섭 차단 → 외부에서 접근이 허락된 수단을 통해서만 객체와 의사소통
객체는 다른 객체가 ‘무엇(what)’을 수행하는지는 알 수 있지만 ‘어떻게(how)’ 수행하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협력과 메시지
객체지향의 세계에서는 메시지를 통해서만 협력할 수 있다.
객체는 협력을 위해 다른 객체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 다른 객체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메시지를 전송하는 객체 → 송신자(sender)
메시지를 수신하는 객체 → 수신자(receiver)
메서드와 자율성
메서드(method) - 객체가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메시지와 메서드의 분리는 객체들 간의 자율성을 증진시킨다.
메시지 → 커피 제조 요청
메서드 → 커피를 제조하는 구체적인 방법
커피 제조를 요청한 캐시어는 커피가 제조될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커피를 제조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관해서는 관여하지 않는다.(캡슐화)
객체지향의 본질
- 객체지향이란 자율적인 객체들의 공동체로 바라보고 객체를 이용해 시스템을 분할
- 자율적인 객체란 상태와 행위를 함께 지니며 스스로 자기 자신을 책임지는 객체
- 객체는 시스템의 행위를 구현하기 위해 다른 객체와 협력, 각 객체는 협력 내에서 정해진 역할을 수행하며 역할은 관련된 책임의 집합
- 객체는 다른 객체와 협력하기 위해 메시지를 전송, 메시지를 수신한 객체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데 적합한 메서드를 자율적으로 선택
객체를 지향하라
클래스 관점에서 메시지를 주고받는 객체의 관점으로 사고의 중심을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클래스가 필요한가가 아니라 어떤 객체들이 어떤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협력하는가다. 클래스는 객체들의 협력 관계를 코드로 옮기는 도구에 불과하다.
객체지향의 핵심은 클래스가 아니다.
핵심은 적절한 책임을 수행하는 역할 간의 유연하고 견고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클래스의 구조와 메서드가 아니라 객체의 역할, 책임, 협력에 집중하라.
'JAVA > JAVA 객체지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03 / 타입과 추상화 (0) | 2022.04.16 |
---|---|
[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02 / 이상한 나라의 객체 (0) | 2022.04.15 |
[Java] Optional 클래스 (0) | 2020.06.28 |
[Java] 이클립스(Eclipse)에 Lombok을 설치해보자! (0) | 2020.04.22 |
[Java] 자바 가상 머신 - JVM(Java Virtual Machine) (0) | 2020.04.21 |